본문 바로가기
코인

다오(DAO) 자율화된 탈중앙화 조직구성 웹3.0

by 창진스토리 2022. 1. 9.
반응형
다오(DAO)는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자율화된 탈중앙화 조직)으로 코인의 프로젝트 집단 블록체인 조직의 운영형태를 의미하는 뜻

 

이더리움다오
Debi 프로젝트를 위한 커뮤니티 벤처 DAO를 론칭하기 위해 4백만 달러를 모금한 새로운 주문(인베스팅닷컴:COINQUORA인용)

다오(DAO)란?

 

다오는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자율화된 탈중앙화 조직)으로 코인의 프로젝트 집단 블록체인 조직의 운영형태를 의미하는 뜻

 

다오의 3가지 특징

 

프로그래밍화 된 규칙:일부세력이나 영향력 있는 집단의 중재자의 움직임보다 프로그래밍화 된 규칙을 따르는 것으로서 관리자나 세력에 영향력이 없어 "무 신뢰성"이 가능합니다.

자율적인 커뮤니티:미리짜여진 인코딩의 불합리한 경우는 바로 커뮤니티 전체 멤버들의 투표로 결정하는 것이며 투표권은 보유하고 있는 토큰의 양만큼 투표권이 보장된다고 합니다.

신기술:모든 신기술을 인코딩하여 스마트컨트렉트화 시켜서 오픈소스로 공개되기 때문에 불변성을 가지며 이러한 신기술의 바탕이 바로 블록체인 기술입니다.

 

 

다오(DAO)의 기술적 장점 

 

다오는 누구나 자율적으로 조직의 발전을 위해서 누구나 제안을 할수있고 참여를 할 수 있으며 커뮤니티 멤버들이 핵심중의 핵심이며 오너쉽을 가지고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이 되는 것이 목표입니다.

누구나 창의적인 제안을 하여 그제안이 조직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것이며 이것의 발전이 진정한 탈중앙화를 향한 시작이 되는 것입니다.

 

 

다오(DAO)의 전망과 호재

다오는 투명성과 열려있는 오픈소스 공개로 오히려 보안에 취약할 수 있으며 빠른 의사 결정이 부족해질 수 있으며, 토큰의 가격에만 치우칠 수 있을 시 투표의 참여율이 떨어지는 취약점이 있습니다.

최근 피플 토큰의 예처럼 경매에 나온 미헌법 초판본을 공동구매로 구매하기 위해서 경매 코인인 이더리움을 모으는 개별 다오가 생기며, 누가 주인인 아닌 공동체가 주인이 되는 시스템은 미래에 진정한 탈중앙화로 나아가는 웹 3.0 시대를 여는 근본이 될것입니다.

반응형

댓글